# 모바일 세금납부 토스(TOSS)로도 OK… 고지서 수령부터 원스톱서비스
서울시는 지방세입 전자고지 및 납부 서비스에 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TOSS)를 추가하고 확대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 2019년부터 페이코(’19.5.), 네이버(’19.6.), 신한플레이(’19.8.), 카카오페이(’19.10.) 등 간편결제사를 통한 지방세입 전자고지 서비스를 시행 중에 있으며, 이번에 토스와 협약을 맺고 전자고지 및 간편결제 서비스를 확대 했습니다.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는 지방세입 고지서를 간편결제사앱(네이버, 카카오페이, 토스 등), 금융앱(국민,신한,하나 등) 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수령하고 납부까지 바로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서울시는 간편결제사 앱을 통해 재산세, 자동차세 등 지방세 뿐만 아니라 과태료 등 세외수입까지 고지서 수령 및 납부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간편결제사 앱이나 ETAX 홈페이지를 통해 전자고지를 신청하고 스마트폰에 수신된 고지서 내역을 확인한 후 등록된 신용카드로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전자고지 신청자에게는 재산세(7월, 9월), 자동차세(6월, 12월) 등 정기분 지방세를 기한내에 납부할 경우 150~500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주고,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마일리지를 최고 850원까지 적립해 줍니다.
’21년 세액공제 금액은 624백만원, 마일리지 적립 금액은 1,244백만원 입니다.
서울시는 ’21년 정기분 기준 19.5%인 전자고지 발송 비율을 전자고지 방법의 다양화, 혜택 확대, 홍보 등을 통해 ’22년 말까지 24.5%(5%↑) 목표로 확대할 계획이며, 특히, 가입자 2100만명의 토스 앱을 통한 전자고지 서비스를 추가하여 연간 15만건(1%), 1억여원의 종이고지서 송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한, 종이고지서를 수령하는 납세자의 납부편의 확대를 위해, 기존의 은행 방문이나 가상계좌 납부가 아닌 고지서의 QR코드를 간편결제사 앱에서 간편하게 스캔하고 바로 납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QR코드 납부 제공 :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 + (확대)토스
서울시 세금 납부 사이트 ‘서울시 ETAX’(etax.seoul.go.kr)에서도 간편결제사 토스를 이용한 납부 서비스가 확대 됩니다. 이택스에 접속하거나 모바일 앱(STAX)으로 접속 후 지방세 납부 시 토스를 선택하면 됩니다.
기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페이코, SSG, L.페이, 은행 앱카드(8개사) + (확대)토스 |
한편, 서울시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기계사용이 어려운 시민들을 위한 ‘맞춤형 무인납부기’, ‘보이는 ARS’를 운영하고, 다양한 인증 방식 및 챗봇 서비스 제공 등 시민들의 납세편의를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서울시 재무국장은 “코로나의 장기화로 비대면 방식을 선호하게 되면서 이번 토스 전자고지 및 간편결제 확대를 통해 서울시민이 보다 편리하게 지방세를 납부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서울시는 시민들이 편리하게 지방세를 납부할 수 있도록 납세편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문의 : 재무국세무과 02-2133-3436

GOODMAN
이 글은 서울특별시 행정새소식 뉴스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생활정보 블로그 & GOODMAN BLOG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소 신속항원검사 중단…고령층 등 PCR검사는 유지 (0) | 2022.04.08 |
---|---|
오래된 집수리, 노후주택 수리 보조금 지원 (0) | 2022.04.08 |
서울시립대학교 숲체험 프로그램 무료 신청하세요 (0) | 2022.04.07 |
코로나 확진자 재택치료 (0) | 2022.04.07 |
서울형어린이집 지원확대로 공보육 강화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