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협심증 원인 및 증상

728x90
728x90

>협심증 원인 및 증상

 

1. 원인
심장의 근육에 산소를 운반해 주는 관상동맥에 문제가 발생하여 가슴이 옥죄이고 심하게 아픈 증상이 나타나는 병이다. 일반적으로 협심증에 걸리는 이유를 살펴보면 첫째, 관상동맥에 동맥경화가 발생했을때이고 둘째, 혈관 내강이 비좁아진 경우이다.


동맥경화가 발생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복잡한 점이 많지만 관상동맥의 내벽에 주로 지방실이 엉겨붙어 내강이 비좁아지는 것을 동맥경화라고 부른다. 즉 관상동맥의 혈액흐름이 순간적으로 나빠진 이유로 인해 심장 근육이 허혈상태가 되었을 때 발작하는 흉통이 바로 협심증이다. 다시 말해 협심증이란 일종의 병명이라기 보다는 스스로 느끼는 자각적 증세로써 발작적으로 일어나는 앞가슴의 통증을 일컫는 말이다.


2. 특징
협심증 발작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통증이 갑작스레 일어난다.
(2) 통증 부위는 앞가슴, 즉 가슴 중앙에서 나타난다.
(3) 통증뿐만이 아니라 짓누르는 느낌이나 가슴을 옥죄이는 듯한 느낌, 예리한 칼로 도려내는 듯한 느낌 등이 있다.

(4) 운동, 식사, 기분이나 감정상의 변화에 따라 유발된다.
(5) 15-20분 이내(보통 10분 이내)에 발작이 일어난다.

또 다른 협심증 발작을 예로 들자면, 협심증 발작은 어느순간 갑자기 일어나긴 하지만 발작이 일어난 사람의 경우, 스스로가 심신의 안정을 유지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또 나이트로글리세린이나 니트롤 등과 같은 알약을 혀아래에서 녹이면 5분 이내에 발작이 소실되는 경우도 있다.


3. 종류
(1) 노작협심증
노작협심증은 협심증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써 다음 여섯 가지의 특징이 있다.
1) 환자 자신도 모르게 어느 순간 갑자기 발생한다.
2) 협심증이 나타나는 신체의 부위는 가슴의 앞쪽 부위로써 흉골의 밑부분에 나타날때가 많다. 때로는 왼팔까지 아픔이 퍼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3) 협심통은 심한 두통뿐만 아니라, 막연한 불쾌감까지도 동반할 수 있다.

4) 육체적, 정신적 작업으로 인해 발작이 일어날 수도 있다. 가령 잠자리에서 일어나 세수할 때나 배변할 때 또는 걷는 도중에 특히 빠른걸음으로 걸을 때, 식후나 찬바람을 쐬면서 걸을 때, 가파른 언덕길이나 계단을 오를 때, 무거운 짐을 들고 갈 때, 정신적 감동이나 너무 흥분했을 때처럼 심장의 운동량이 급격히 증가했을 때 발생될 수 있다.

5) 협심통의 지속 시간은 대부분이 3-15분 이내에 유인이 사라지거나 안정이 되면 자연스럽게 소멸한다.

6) 나이트로글리세린 알약을 혀밑에 넣고 있으면 협심통은 사라진다. 또한 협심통 발작중에는 심전도에 심근허혈의 소견이 나타나는데 통증이 어느순간 사라지면 그 소견 역시 사라진다.


노작협심증의 가장 특징적인 점은 안정을 취하면 수분 이내에 자연적으로 통증이 사라지거나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발작이 일어나면 그 즉시 해소시킬 목적으로 예전부터 사용해 오는 약이 있는데 아질산 아밀구와 나이트로글리세린 등이 이에 속한다. 그외에도 오랫동안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 합성된 아초산제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써 이소솔바이트가 있다.


(2) 중간협심증
중간협심증은 노작협심증처럼 뚜렷한 원인은 없다. 일반적으로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 발작하며 협심통의 정도도 굉장히 강하고 지속 시간 또한 오래 간다.


1) 협심통은 15분에서 수시간 동안 계속되며 그 정도나 특성이 노작협심증과 심근경색의 중간적 성격을 띤다.

2) 안정되어 있을 때도 발작을 일으킨다.
3) 기절이나 울혈성 심부전, 폐수종의 증후는 없다.
4) 심근괴사의 정확한 증후 같은 것이 없다.
5) 발작시 심전도에는 심근허혈이 나타난다.

 

중간협심증이 발작할 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는 나이트로글리세린, 이소솔바이트가 있다. 그러나 협심증 발작은 언제 일어날지 예측할 수 없으므로 발작을 조절한다는 것이 상당히 어려울 때가 있다. 중간협심증일 때는 항응혈요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의 치료법은 바파린이나 헤파린 등의  혈액응고를 저하시키는 약을 이용하여 혈액의 응고 능력을 떨어뜨리고 폐색과 관상동맥의 혈전형성을 방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 요법을 통하여 좋은 효과를 볼 때가 많다. 또 심근경색이 발생하여도 그 경과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출혈 등과 같은 위험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혈액 응고를 가끔 측정하여 조절을 해주어야 하며 이러한 검사 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


(3) 이형협심증
이형협심증은 협심증의 발작이 정신적 흥분이나 긴장감 또는 심장의 부담 증가로 인해 발병되는 것이 아니고, 주기적으로 일정한 시간, 특히 야간 취침 후나 아침, 새벽 등 대체적으로 같은 시간에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협심통의 발작 정도도 심한 편에 속하며, 수분에서 15분정도 계속되며 시간이 흐르면 자연히 가라앉는다. 이형협심증에는 나이트로글리세린이 효과가 있다. 발작을 일으킬 때마다 심전도에는 같은 유도 부위에 심근경색의 시작을 알리는 소견이 나타나지만 발작이 사라지면 그러한 소견 역시 소실된다. 이러한 이형협심증도 중간협심증의 한 유형이라 볼 수 있다.


(4) 불안정협심증
불안정협심증이란 발작이 일어날 때마다 증세가 계속 악화되는 협심증이다. 노작협심증처럼 일정한 운동을 취했을 때 발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운동량이 적을 때도 발작을 일으키게 된다. 적절한 치료를 빨리 취하지 않으면 심근경색이  나타날 위험 부담률이 높기 때문에 입원 치료를 권장하기도 한다.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협심증을 일으킨 지 겨우 3-4주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2) 지금까지는 협심증 발작이 육체적 노동을 할 때만 나타나더니 안정을 취할 때도 나타나게 되었다.
(3) 발작은 예전부터 계속 있었지만 최근에는 무리가 따르지 않는 가벼운 노동이나 운동을 할 때도 발작이 일어나고, 그 지속 시간이 점차 늘어났다.

(4) 심근경색이 나타나고 그리 오래지 않아 협심증 발작을 일으키는 경우인데 이때는 예후가 좋지 않아 대부분 입원 치료를 필요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결과, 노작협심증은 일련의 일관성을 띠고 있으며 어느 순간 갑작스레 발작을 일으켜 목숨을 잃는 경우는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간협심증은 노작협심증처럼 확실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고 발작을 일으키는 기전 역시 뚜렷하지 않다. 이형협심증 및 중간관증후군의 약 30% 정도는 협심증이 발작하고 나서 빠르면 3개월 이내부터 1-2년 이내에 심근경색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병을 치료하고 나서도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안정협심증과 노작협심증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에도 심근경색으로의 이행률이 높아지므로 각별히 신경을 쓰도록 한다.


4. 치료
협심증의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약물이 사용된다.

 

(1) 나이트로글리세린
값이 저렴하고 복용하는 것이 간편하며 작용이 빠르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정제 즉 알약으로써 입속에 넣어 혀 밑에서 녹이게 하는 것이다. 이 약을 사용해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환자는 반드시 의사에게 이런 사항을 알려 주어 적절한 조처를 받도록 하며, 가벼운 질환으로 안정만 취해 주어도 곧 동통이 없어지는 환자에게는 굳이 투약할 필요가 없다. 투약 후에 운동을 중단하지 않으면 동통이 멎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투약을 했을 경우에는 심신을 안정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2) 아밀리트라이트
작용이 더 빠르며 10-15초 내에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작용하는 시간은 불과 수분간밖에 지속되지 않는다. 유리알이나 유리 앰풀에 들어 있으며 사용하는 방법은 이것을 입에 대고 들이마신다. 단점으로는 값이 비싸고 휴대뿐만이 아니라 사용하기에도 불편하며 또 특이한 냄새가 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3) 나이트라이트 이것은 관상동맥 확장 작용과 아울러 오랫동안 작용하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확실한 효력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나이트로글리세린이라는 특효약을 경시하게끔 하는 악작용도 지니고 있다.

 

(4) 페리트레이트
비교적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1정에 10mg짜리 알약으로 만들어져 있다. 1회에 1-2정 정도씩 하루에 3-4회 투여하도록 한다. 발작에 대한 예방 작용은 1시간 반에서 시작되어 4-5시간까지도 지속된다. 이 약에 대한 평가는 굉장히 우수하다고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전혀 그 가치를 시인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5) 카이딜레이트
5, 10, 15mg짜리 정제로 만들어져 있으며, 하루에 3회 투약하여 30mg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작용 시간은 투약 후 15분이 지나면 이루어져 수시간 동안 지속되는 효능을 지니고 있다.


(6)  아이사딜
10mg씩 하루에 4차례 투여한다. 40mg의 정제가 사용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7) 진정제
촉진인자인 불안감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페노바르비탈(0.05-0.1g)이나 브롬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불면증에 대해서는 넴부탈(0.1-0.2g), 베로날(0.3-0.6g), 세코날(0.1-0.2g)등을 잠자리에 들기 전에 투여하는 것이 좋다. 아편제제는 사용을 못 하도록 되어 있으나 한밤중에 발작이 심하게 나타나 나이트로글리세린을 사용했는데도 별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 가끔씩 데메롤을 50-100mg 정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때때로 트랑키라이자가 사용되는 때도 있다.

 

 

GOODMAN BLOG

 

728x90
728x90